전체 글(170)
-
사주 남자들이 좋아하는 여자 일간
남자들이 좋아하는 여자 일간 남자들은 보통 자신의 상관일간을 좋아한다 갑목남 병정화 많이 만나고 특히 정화 토다자랑 많이 사귄다. 병화남은 기토녀 뭘해도 아빠미소로 보고 챙겨준다 정화남은 시크한 무토녀 귀여워하면서도 옆에서 애교를 떤다 무토남도 신금녀 따라다닌다. 근데 또 대체로 만나는건 신금보단 경금 많이 만난다 기토남은 경금녀 화끈하고 섹시하다고 말해준다 경금남도 계수녀 부둥부둥 해준다 계수남은 갑목녀한테는 계산기짓 안하고 자꾸 리드하려고 한다 을목남은 병화녀 좋아하고 경금녀랑 임수녀한테 잘 기댄다 신금남은 애초에 임수녀가 얘넬 별로 안좋아하는 눈치라 슬프다. 그래서 자존심 높은 신금남은 다른일간을 찾는 경우가 많다. 임수남은 모든 일간한테 다 찝적댄다. 남녀 궁합 1.천간충/ 이성간 스파크나 끌림,..
2022.02.22 -
사주 좋은 남자 고르기
좋은 낭군을 고르려면 우선 내 사주에서 서방 복이 얼마나 있는지를 먼저 살펴봐야 할 것이고..... 관살이 희용신 이면 남편 복이 있을 테니 궁합까지도 대체로 무난하게 마련이고 (팔자 개선 1번은 궁합인데 궁합에 관해서는 다음 기회에 논하기로 하고) 이 대목은 관살이 희용신이 아닌 즉, 신랑 복이 없는 여자가 (궁합을 일체 고려하지 않고) 신랑 후보 남자 妻宮(日支)의 십성을 보고 그래도 그 중에서 조금이라도 나은 신랑감을 고르는 요령이다. 1. 일등 신랑감=> 일지 식상과 일지 정재 * 식상은 내가 生하는 구조이니 일지가 식상인 남편은 처를 예쁜 딸처럼 귀여워하고 예뻐하며, 거기에 무드도 있는 남편이 될 것이며... 거기에 남자도 처에 관해서는 별로 불만이 없을 것이고, * 일지 정재는 그야말로 처가 ..
2021.12.27 -
사주팔자 신살 정리
* 甲子 태극귀인(太極貴人) 갑자(甲子), 갑오(甲午), 정묘(丁卯), 정유(丁酉), 무진(戊辰), 무술(戊戌), 기축(己丑), 기미(己未), 경인(庚寅), 신해(辛亥), 임신(壬申), 계사(癸巳) 일이 태극귀인에 해당되며, 태극은 시종(始終)을 의미하여 종래 성과를 거두는 기쁨을 암시한다. ☞ 원래 태극귀인은 생년(生年)을 위주로 보나, 일지(日支)에서도 보며 격국(格局)의 청순함을 요한다. 격국이 우수하면 입신양명(立身揚名)한다는 것이다. 진신(進神) 갑자(甲子), 기묘(己卯), 갑오(甲午), 기유(己酉)일로 육십갑자의 15位 간격 순으로 구성된다. 이는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골라하니 즐겁다는 길성(吉星)으로 냉철하며 문장력이 뛰어나다. 혹 관재수가 동하기도 한다. 효신살(梟神殺) 갑자(甲子), 을..
2021.12.27 -
관성 과다(관다) 사주의 장점과 단점
관이 강한 사주는 어딜 가나 관객이 있는 것이고 관이 없으면 관객이 없는 것이다. 관이 너무 쌔서 치이는 사주는 늘 피곤한 것이 알게모르게 늘 자기를 보는 관객이 있기 때문이다. 똑같은 개그맨도 안영미, 장영란 이런 사람들이 관성 관다 사주를 지니고 있다. 예쁘든 안예쁘든 잘생겼든 못생겼든 자세히 보면 관객들에게 서비스를 한다. 인다는 관설하니 관객들을 즐겁게하지 않으면서 칭찬만 받고 싶은 상태고 식다는 관극하니 왜 나 쳐다보냐고 나가라고 관객들 쫓아내거나 닦달하는 거고 재다는 생관하니 관객을 주체적으로 끌어모으고 준비하는 것이고 비다는 관 약하게 하니 관객이 바라보기 부담스러운 존재로 사는 거고 관다는 관에 항상 적응되어있는 상태 관객이 나를 봐도 그러려니 하는 것 관객이라는 거는 나를 어떤 이미지를 ..
2021.11.22 -
사주팔자 근묘화실
사주를 본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닙니다. 사주를 보기 위해서는 음양, 오행, 천간, 지지, 십성, 합충형, 신살 등 여러가지 요소를 알아야 하기 때문이죠. 사주를 봄에 있어서 "뼈대"만을 보고 싶다면 그리 어렵지만은 않습니다. 사주 간명의 빼대는 천간, 지지, 십성입니다. 음양오행은 형이상학적 개념으로서 사주를 간명하기 이전에 논의되는 철학적인 요소지요. 합충형 신살은 반대로 굉장히 실천적인 요소입니다. 천간과 지지 사이의 관계를 사람들이 바로 이해하기 쉽도록 현실 상황에 빗대어 풀어 쓴 것입니다. 그래서 천간, 지지, 십성의 개념만 어느 정도 잡고 있어도 사주 간명이 가능한 것입니다. 물론 천간, 지지, 십성의 개념을 잡는 것 자체로도 이미 중-고수의 반열입니다만. 각설하고, 사주 간명의 뼈대는 ..
2021.11.22 -
옷을 통한 개운 방법
일간(日干)을 生하는 글자를 십성(十星) 중에서 인성(印星)이라 한다. 음양이 같으면 편인(偏印)이라 하며 음양이 다르면 정인(正印)이라 한다. 가령 甲일생인 사람에게 壬, 亥는 편인이 되며 癸, 子는 정인이 된다. 인성의 기본적인 의미는 육친으로는 어머니이며 학문, 스승 등을 나타낸다. 이 밖에 사물 중에서는 문서, 집(주거), 부동산, 사람의 의복과 침구 등을 나타낸다. 이 내용을 서로 연결하여 실생활 속의 사건으로 풀어본다. ◎ 의복, 침구, 집 의복, 침구, 집은 사람의 인성(印星)에 해당한다. 그 이유에 대해 따로 설명된 문헌을 보지 못하였으나, 필자가 다음과 같이 유추해 보았다. 사람의 몸에 보온을 하지 않으면 열기가 빠져나간다. 빠져나가는 열기는 내가 생하는 것(我生者)이므로 식신, 상관이다..
2021.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