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명리학 고서의 중요성

2022. 7. 4. 06:19사주팔자

반응형

 

사주명리학 4대 고서는 자평진전, 적천수, 궁통보감, 연해자평이라고 할 수 있다.

사주를 조금 배운 사람들중 가장 경계해야 할 유형이 고서를 무시하는 사람이다.

 

고서에서 말하는 신강은 일반적으로 알고있는 신강과 전혀 다르다는 사실을 알고 있을까?

자평진전에서 말하는 신강과 억부론에서 말하는 것도 하늘과 땅차이다.

 

첫 단추부터 잘못 끼우고 개념 숙지가 안된 상태에서 고서를 읽게 되면 틀리게 해석하게 된다.

번역본도 잘못된 것들이 매우 많다.

 

재격에서 신강이라 하는 건 뿌리 있는 일간을 뜻한다.
그래서 억부론에서 신약사주도 재격에서는 얼마든지 신왕재왕, 신왕식재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재기통문호에서 임철초가 말한 신왕재약무관자 필요유식상에서 신왕 역시 동일하다.

재다신약 사주도 신강 재격인 경우도 있으며 사주 원국에서 신약이라도 다가오는 대운, 세운에서 대성할 수 있다는 건 고서에서도 반복해서 나오는 말이기도 하다.


신강, 신왕의 기준은 고서마다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유근을 뜻한다.
신강과 신왕은 반복회피로 쓴 것이지 비겁이 왕하면 신왕, 인성이 왕하면 신강이 결코 아니다.

그것은 종왕격, 종강격에서 말하는 것이고, 일반적으로 고서에서 언급되는 신왕, 신강은 구별하지않고 사용한다.
득령해야 신왕이라는 것도 마찬가지다. 실령해도 얼마든지 신왕이고 신강이라 말한다.

 



일간이나 다른 천간의 힘을 볼 때 유기, 유근, 유력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은데 유기는 가장 넓은 의미로 뿌리는 아니지만 진기인 경우(예를들어 갑목이 자수를 본 경우)부터 유근, 유력을 다 포함해서 유기라 하는 경우도 있다 (식신유기 승재관의 유기는 식신이 유근,유력)

유근은 말 그대로 뿌리를 본 경우(병화가 인목, 사화, 오화, 미토, 술토)


유력은 뿌리를 강하게 본 경우(지지에 묘고지만 보면 유력이라 하지 않으며, 생지는 녹왕지와 동급으로 유력하게 봄)

정리하면 일반적으로 신왕, 신강이라는 건 유력한 상태를 말한다.

억부론에서는 지지에 생녹왕지 2개를 봐도 일단 실령해버리면 신강사주가 되기어렵고 중화에 가까운 신약 정도에 그치지만 대부분의 고서에서는 유력한 상태면 신왕, 신강이라 표현한다.

그러니까 신강, 신왕 이런 표현 하나도 제대로 이해못한 상태에서 고서를 읽으니 고서 틀리다, 버려야 한다 얘기가 나오는 건 당연한 현상이다.

격국론으로 들어가면 더더욱 이해하지 못하게 되버린다.

자평진전을 전혀 이해못하고 유명해진 작가도 있는데 일반인들이 이해하는 수준이 높지 않다는 것은 당연히 유추 가능하다.

최근에는 사주명리학 논문도 많이 나오는데 읽어보면 박사학위자들조차도 고서 하나 제대로 이해못하고 쓴 논문이 눈에 많이 띈다.

고서가 무조건 옳은 것도 아니고, 부실한 부분도 있지만 한국에 나온 명리서들 가운데 고서 뛰어넘는 책은 한번도 본 적이 없다.

 

 

반응형